국제정치

일본과 한국의 주민등록 시스템 비교 및 IT 헬게이트 문제

세시정 2025. 2. 5.
반응형

도입

일본은 예전부터 한국의 주민등록 시스템을 비난해 왔습니다. 전국민에게 번호를 부여해 관리한다는 것은 전체주의 성격이 강하다는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주민등록번호를 긍정적이고 발전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IT 시대에 들어서 그 유용성이 더욱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주민등록 시스템 발전

한국은 2025년부터 주민등록증을 모바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발급된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공공기관, 편의점, 병원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시스템으로, 별다른 특별한 기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한국은 차차 발전하며 별다른 문제 없이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마이넘버 카드 도입과 문제점

일본은 2016년 한국의 주민등록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마이넘버 카드를 도입했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시스템 도입은 여러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NTT 그룹과 후지츠는 자민당의 대규모 스폰서로서 마이넘버 카드 관련 사업을 대량 수주했습니다. 이로 인해 비리와 시스템 장애 문제가 발생하며, 일본의 디지털화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치자금과 일감 몰아주기

NTT 그룹은 자민당 측에 1억 8,500만 엔의 정치자금을 헌금했고, 후지츠 또한 1억 6,600만 엔을 헌금했습니다. 이들은 마이넘버 카드 관련 사업에서 다양한 혜택을 받았으며, 발주자가 낙찰자를 선택하는 수의 계약으로 일감을 몰아주었습니다.

마이넘버 카드와 건강보험증 통합

일본 정부는 마이넘버 카드와 건강보험증을 통합하고, 2024년부터 건강보험증 신규 발급을 중단했습니다. 병원에서 진찰을 받기 위해서는 마이넘버 카드가 필수가 되었으며, 정부는 마이넘버 카드와 얼굴 인증이 가능한 리더기 설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비용 부담을 겪고 있습니다.

마이넘버 카드 갱신 문제

마이넘버 카드는 유효 기간 갱신을 위해 지자체 창구를 방문해야 합니다. 2025년에는 대규모 갱신 시기가 도래하며, 이로 인해 지자체 업무가 마비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마이넘버 카드 리더기는 스마트폰을 읽을 수 없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향후 전망

한국은 주민등록증을 모바일로 디지털화하며 성공적인 디지털화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반면, 일본은 마이넘버 카드 시스템 문제로 인해 IT 헬게이트를 맞이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일본의 디지털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으며, 디지털화에 대한 불안과 망설임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결론

2025년, 한국과 일본의 디지털화 과정은 완전히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으로 편리함을 제공하는 반면, 일본은 마이넘버 카드와 관련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