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계 정상들의 방문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기도 전에 여러 국가 정상들이 그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헝가리의 빅토르 오르반 총리,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는 모두 보수적 성향과 강한 포퓰리즘 접근 방식을 가진 지도자들입니다. 특히 이들은 트럼프 당선인에게 우호적인 발언을 공개적으로 해왔습니다.
오르반 총리는 트럼프의 당선을 축하하며 트위터에 “긴 기다림이 끝났다”라고 적었고, 밀레이 대통령은 트럼프가 아르헨티나의 IMF 자금 지원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습니다. 멜로니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을 두 차례 만나 경제 협력 및 안보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트럼프의 무역 및 외교 정책
트럼프 당선인은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불법 이민과 마약 문제 해결을 압박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또한, 트럼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휴전을 강조하며 국제 외교 무대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의 반응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멕시코와 캐나다는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와 전화 통화를 했으나, 양측의 발표 내용이 서로 달랐습니다.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트럼프와 만난 뒤 “캐나다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지만, 결국 사임을 선언했습니다.
한국 외교의 도전과 과제
현재 한국은 트럼프 당선인과 정상 간 직접 소통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은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며, 국방비 부담 증가 요구 또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미국 내 투자와 생산을 강조하며 외교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직면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는 '한국 패싱'입니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배제한 채 외교 및 안보 정책을 결정한다면, 이는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트럼프 당선인과의 조기 대화를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모색해야 합니다.
'국제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vs 젤렌스키: 격렬한 설전과 국제 정치의 긴장 (0) | 2025.03.19 |
---|---|
미·중 반도체 전쟁과 한국의 위기: 트럼프, 시진핑, 그리고 글로벌 경제의 향방 (2) | 2025.03.16 |
미국의 한국 동반자법 추진과 한·일 차별 논란: 국제 정세 분석 (0) | 2025.03.14 |
🚀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상속을 넘어선 그의 정치·사업 제국 (0) | 2025.03.14 |
베트남 반중 정서의 이유? 역사적 배경과 현재 관계 분석베트남이 중국을 싫어하는 이유 | 역사·정치·경제적 갈등 (0) | 2025.03.12 |